추석 연휴를 기점으로 가을이 성큼

페이지 정보

카테고리 1주차 mission | 작성 25-10-13 11:53 작성자 : sans339

본문

콜백문자서비스 추석 연휴를 기점으로 가을이 성큼 가까워졌습니다. 중부지방의 경우엔 오락가락 이어지는 비와 함께 한낮 기온이 25도를 밑도는 날이 많아졌습니다. 반면, 남부의 호남과 영남에선 추석이 지나고도 28도 안팎까지 기온이 오르는 늦더위가 찾아오기도 했습니다. 당장 지난 9월만 하더라도, 전국 평균기온은 23℃로 평년보다 무려 2.5℃ 높았습니다. 2024년 9월(24.7℃)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뜨거웠던 9월인 셈입니다. 9월 평균 최고기온은 27.6℃로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지난해(29.6℃)에 이은 '역대 2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와 올해, 2년 연속 '9월 폭염'이 발생했고, 2023년부터 3년 연속 '9월 열대야' 또한 기록됐습니다. 현재까지 '역대 1위' 기온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2024년 9월의 경우, 강수일수는 9.1일에 불과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9월은 역대 9월 강수량 13위(228.8mm), 9월 강수일수는 역대 2위(15.1일)에 이를 만큼 비구름이 하늘을 뒤덮었던 날이 많았음에도 기록적인 '더운 9월'을 보내게 됐습니다. 기후변화로 전 지구가 계속해서 달궈지는 가운데, 올해 9월에도 여전히 한반도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권에 놓이면서 역대급으로 더운 9월이 된 겁니다. 이런 '역대급 행진'은 전 지구 차원에서도 3년 연속 이어지는 중입니다. 2023년, 전에 없던 수준으로 지구가 달궈져 '전 지구 연평균기온 역대 1위'를 기록하더니, 2024년엔 그보다 더 뜨거워져 2년 연속으로 역대 최고 기록이 경신됐습니다. 그리고 2025년, 이러한 열기는 계속되는 중입니다. 3년 연속으로 연평균기온 최고기록이 깨질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만, 위의 그래프에서도 확연히 드러나듯 지금껏 관측됐던 온도와 차원이 다른 온도를 기록하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기후변화로 달궈지는 것은 대기만이 아닙니다. 지표면의 약 70%를 뒤덮은 바다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전 지구 해수면온도 추이를 살펴보면, 기온과 마찬가지로 2024년 〉 2023년 〉 2025년 순으로 높은 것을 [앵커]JTBC '기후의 역습' 특집 보도, 프랑스와 스웨덴에 이어 오늘은 한반도입니다. 해마다 기온이 오르면서 국내 농작물 지도가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폭염에 무너지는 국내 최대 잣 생산지를 임예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기자]산길을 따라 오르면 깊은 숲속 잣나무들이 모습을 드러냅니다.이 잣을 따려면, 다시 20m 넘는 나무를 올라야 합니다.안전띠를 매고, 뾰족한 승주기를 찬 채, 조심스레 나무 꼭대기로 향합니다.장대를 휘두르자, 비처럼 쏟아지는 잣송이들.하지만, 정작 포대 자루에 담을 만한 건 절반도 되지 않습니다.[이런 건 까봐야 기계에서 다 날아가요. 전부 다 알이 작아서.]불과 몇 해 사이 숲은 달라졌습니다.[배인택/가평 잣 농장주 : 5년 전에는 이런 경우가 없었어요. 잣 좋았어요. 잣이 좋으면 지금 다 땄어야 돼요. 벌써.]국내 최대 잣 생산지 경기도, 이곳 잣 생산량은 어느새 175분의 1로 줄며 사실상 생산이 끊기다시피 했습니다.[배인택/가평 잣 농장주 : 기온 차이 때문에 그런 건 맞아요. 왜? 높은 산에 있는 건 좀 덜해. 야산에 있는 건 싹 갔단 말이에요.]서늘한 날씨에서 자라는 잣나무는 이례적인 폭염에 버티지 못하고 있습니다.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해충이 달라붙고 고사율 100%에 달하는 '재선충병'까지 퍼졌습니다.[권건형/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 나무연구팀장 : 나무를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그러면) 생산할 수 있는 잣나무의 수량이 줄 수 있고…]이제는 생산량뿐 아니라 품질도 문제입니다.이렇게 한편에는 잣송이가 잔뜩 쌓여있는데요.모두 썩은 것들입니다.이렇게 송이 크기가 작은 것들도 있고요.열매가 맺히지 않은 송이도 상당수입니다.겉보기에 멀쩡해도 속은 이미 병든 것도 많습니다.[권건형/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 나무연구팀장 : 급격한 기후변화가 장기적으로 봤을 땐 나무의 생리적인 영향이나 이런 부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봐야 하는데요. 아직 결론을 내리긴…]뾰족한 해결책은 없습니다.대를 이어 잣나무를 지켜온 농민들의 마음은 무너집니다.[배인택/가평 잣 농장주 : 고민은 벌써 끝났 콜백문자서비스